-
[통계] 가설검정의 기본 개념Data Analysis/Statistics 2022. 12. 19. 16:37반응형
가설
귀무가설 (H0) : 기존에 자리잡고 있는 모수에 대한 가설
대립가설 (H1) : 연구자가 새롭게 제시하는 가설
이미 자리잡고 있는 가설을 완벽하게 부정할 수 있을 정도로 의미있는 정보가 있어야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습니다.
가설검정의 오류
제 1종 오류를 범할 확률 : $\alpha$ (= 유의수준)
제 2종 오류를 범할 확률 : $\beta$ ($1-\beta$ = 검정력)
좋은 가설 검정 방법
제 1종 오류와 제 2종 오류가 일어날 확률을 최소화 해주는 방법이 좋은 가설 검정 방법 입니다.
But!! 일반적으로 두 종류의 오류는 반비례 관계가 있습니다. 동시에 오류가 일어날 확률을 줄이기는 쉽지 않습니다.
◼ 어떤 오류가 작을수록 좋을까?
보통 제 1종 오류를 범할 때 더 큰 손실이나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제 1종 오류를 줄여주는것이 더 좋습니다.
◼ Example
한 회사에서 신약개발을 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가설설정>
H0 : 기존의 약과 신약이 별 차이가 없다.
H1 : 신약이 기존의 약보다 더 좋다.
제 1종 오류 : 별 차이가 없음에도 신약 개발을 추진
-> 별 차이가 없는데 있는줄 알고 개발하면 회사 엄청난 손실과 적자 발생할 것입니다.
제 2종 오류 : 신약이 효과가 있음에도 개발을 안함
-> 신약이 효과가 있지만 개발을 안 한 것입니다. 이 사실을 알면 배는 아프겠지만 손실이 나진 않습니다.
◼요약
가설검정방법의 컨셉
제 1종 오류를 범할 확률($\alpha$)의 최대허용한계 어느정도 작은 값(0.01, 0.05, 0.1 등)으로 고정시켜놓고,
제 2종 오류($\beta$)를 최대로 줄여주는 검정방법
가설검정의 절차
Step1.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설정한다.
Step2. 유의수준 $\alpha$를 설정한다.
Step3. 적절한 검정통계량을 선정한다. 이때, 검정통계량의 분포는 귀무가설이 사실이라는 가정하에 구한다.
Step4. 주어진 유의수준과 검정통계량의 분포에 부합하는 기각역을 계산한다.
Step5. 표본으로부터 검정통계량의 값을 계산한다.
Step6. 관찰된 검정통계량의 값과 기각역을 비교하여 결론(귀무가설의 기각 여부)을 내린다.
반응형'Data Analysis > Statis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 회귀분석 기본 개념 - 단순회귀분석 (Simple Linear Regression) (0) 2023.01.10 [통계] 회귀분석 기본 개념 - 상관분석 (0) 2023.01.06 [통계] 정규모집단에서 모평균에 대한 양측검정 (1) 2022.12.21